중국에서 코로나19가 우한으로 수입된 미국 바닷가재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이번에는 한국산 수입 의류와 물품을 코로나 감염원으로 지목했다.
17일 중국 포털사이트 바이두에 '한국수입의류'를 검색하면 '바이러스', '코로나가 있는가' 등의 문구가 나온다.
앞서 지난 7일 저장성 샤오싱시 당국은 "최근 항저우시 코로나19 확진자 한 명이 외국 수입 의류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시민은 비필수적 수입품을 구매하지 말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이 특히 심각한 한국에서 수입하는 의류나 물품'을 수입 자제 물품으로 지목했다.
샤오싱시 외에도 동양시, 장쑤성 리수이현 롄두구 등이 이 같은 권고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항저우시 질병예방통제센터 측은 "택배를 받은 후 서둘러 뜯어보지 말고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한 뒤 풀어봐라"라면서 "야외에서 택배를 뜯으면 공기 중으로 미생물과 바이러스가 희석돼 더 좋다. 포장지는 집으로 가져가지 말고 소독 후 생활폐기물 분류에 따라 처리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코로나19 기원은 현재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에서는 해외 우편물이나 화물을 통해 유입됐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15일 중국 매체 차이나데일리는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유행한 2019년 12월 이전에 미국에서 발생한 '전자담배 폐렴'이 코로나19 근거"라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2019년 7월 미국에서 전자담배와 관련된 폐렴이 발생했고, 11월 미국의 바닷가재가 우한으로 수입됐다"며 "이후 우한의 화난 수산물도매시장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했다"고 부연했다.
한편 중국 보건당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4일 신규 감염자 수는 5154명으로, 전날 2125명에 비해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중국에 뒤늦게 오미크론 변이가 유입·확산하면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자, 당국은 주요 도시 봉쇄조치에 들어갔다.
승무원 룩북녀, 보라색 유니폼으로 복귀 "유니폼+스타킹 으로 코디했다"
특정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 룩북 영상으로 뭇매를 맞은 유튜버가 이번에는 보라색 유니폼을 입는 룩북을 공개했다. 지난 14일 유튜버 A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승무원 룩북녀의 유니폼+스타
moluv.tistory.com
오토바이 소음 기준 30년 만에 강화... 법 개정하여 처벌한다
환경부가 이륜차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30년 만에 소음 관리체계를 바꾸기로 했다. 환경부는 15일 기존에 최대 105㏈이었던 배기소음의 허용기준을 95㏈로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moluv.tistory.com
빅토르안, 하루만에 中배반자로 추락...광고계도 손절하나
중국 쇼트트랙의 간판 코치라는 최고의 칭찬을 받았던 빅토르안(한국명 안현수)에 대한 중국 내 평가가 하루 만에 손바닥 뒤집듯 싸늘하게 변했다. 그의 아내 우나리 씨가 운영하는 화장품 회사
moluv.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