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물놀이 계절이 시작됐다. 수영장, 워터파크, 강, 바다에 사람들이 모여들수록 귓병에 걸리는 사람도 급증한다. 물놀이를 하다 보면 귀에 물이 들어간다. 대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지만, 드물게 귓속에 남은 물은 외이도염 등 귓병을 유발한다. 귀에 물이 찼다고 면봉을 들이미는 것은 위험하다. 젖은 귀지를 귓속 깊숙이 밀어 넣어 염증 위험을 더 높이는 탓이다. 미국 건강 매체 ‘헬스 데이’가 대처법 정리했다.
1. 중력
한 발로 서서 물이 들어간 귀를 아래로 향하게 한 뒤 뛴다. 손으로 귓불을 늘리면 물이 쉽게 빠진다. 물이 찬 귀를 아래로 향한 뒤 손바닥으로 막아 약한 진공상태를 만들었다가 재빨리 떼어 빼는 방법도 있다. 베개에 수건을 깔고 물이 들어간 귀를 대고 잠시 누워있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 하품
유스타키오관에 고여있던 물거품을 터뜨려 외부로 흐르도록 돕는다. 하품을 하고 ‘펑’ 거품 터지는 소리를 듣는다면 성공적. 비슷한 원리로 비행기 탔을 때 먹먹한 귀를 뚫는 ‘발살바 방법’도 도움이 된다. 입을 닫고 코를 잡은 뒤 숨을 코로 뿜어 귓속 압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껌을 씹는 것도 도움이 된다.
3. 드라이기
헤어드라이어를 귀에서 30cm 정도 거리를 두고 약한 바람으로 귀 안쪽을 말리는 방법이다. 뜨거운 바람을 한 곳에 오래 쐬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귓바퀴를 부드럽게 당기고 쐬면 바람이 귓속 깊숙이 닿을 수 있다.
4. 점이액
소독용 알코올과 식초를 5:5로 혼합한 용액을 귀에 넣는 방법이다. 서너 방울 넣고 30초 후에 머리를 기울여 용액을 빼낸다. 알코올 성분이 휘발하며 건조를 돕고, 식초는 박테리아 번식을 막는다. 단, 귓속에 상처가 있는 사람에겐 금물이다.
5. 이어폰
물놀이 직후 귓속이 눅눅한 상태에서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하면 귓속에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 충분히 귓속을 건조한 뒤 사용해야 한다. 이런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귀에 통증이 있거나, 잘 안 들리거나, 진물과 악취가 난다면 이비인후과를 찾는 게 좋다.
강황과 사골 이외에 몸 속 염증 줄이는 음식
만성염증은 심각한 상태가 되기까지는 알기 쉽지 않다. 체중 증가, 피로, 관절 통증, 피부 트러블, 소화불량 등이 만성염증의 증상이다. 이런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매우 많기 때문이다.
moluv.tistory.com
근육이 아플 때 꼭 확인해야 하는 11가지
근육통은 근육 부위에 생기는 통증이다. 평소 잘 쓰지 않던 근육을 썼다면 시간이 좀 지나면 자연적으로 낫는다.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 비타민 부족 등으로 근육이 쑤시고 아픈 경우도 있다.
moluv.tistory.com
나이가 들면 살 빼기 어려운 4가지 이유
먹는 양은 전과 비슷한데 몸무게가 늘었다. 다이어트를 해도 별다른 진전이 보이지 않는다. 모두 나이 때문이다. 나이를 먹으면 호르몬 분비에 변화가 생긴다. 대사 속도 역시 달라진다. 사회적
moluv.tistory.com